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유

[유아인 프로포폴] 맞는 이유와 상습 투여 중독현상은?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쓰리입니다. 어김없이 연예인 사고는 끊임없이 일어나고 프로포폴의 관한 기사는 유명연예인들과 재벌집의 아들 또는 사업가의 상습 투여 사건은 한번씩 보게 됩니다.

유아인 프로포폴 상습 투약 혐의로 경찰조사를 받고 있고 2021년 초부터 수시로 프로포폴을 투약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유아인은 2021년부터 여러 병원을 돌아다니며 프로포폴에 대한 처방을 계속 받아와 의료쇼핑으로 포착되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처방 병원과 투약 환자 정보가 담겨 있는 마약류 통합관리시스템을 분석하여 상습투약을 의심하게 되었습니다.

이렇듯 프로포폴의 상습투여를 하는 이유와 그로인한 현상은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유아인 그리고 유명인들이 프로포폴 맞는 이유는?

프로포폴은 GABAA 수용체를 촉진하고 흥분성 신호를 전달하는 NMDA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GABAA 수용체 또는 가바수용체는 몸안에 유도된 이온통로에 작용하여 염소이온의 세포내 유입을 증가시켜 세포막의 과분극을 일으켜 신경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불면증이나 수면무호흡증, 또는 심한 코골이나 호흡기 질환이 있는 불면증 환자에게는 수면제 대신 프로포폴 마취제이기 때문에 목적 이외에 숙면이나 기분전환의 효과를 기대하면서 항불안제나 항우울제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프로포폴은 투약시 짧은 시간 동안 숙면하는 것과 같은 효능이 있어 원기 회복이나 불안감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아인과 더불어 유명연예인들이 상습으로 투여하는 방식은 처음에 어느정도 프로포폴을 맞아도 다음날 일상생활 하는데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처음에는 회사일이나 인지기능에 별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점점 양이 늘어나게 되고 체내 분포 속도가 빨라서 약을 투여하자마자 바로 효과가 강하게 느껴져서 더 많이 찾게 되고 중독이 되는 것입니다.

 

2. 연예인들이 자주 프로포폴에 중독되는 이유는?

보통 연예인들은 과도한 스케쥴과 대중의 시선들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고 불안감이 일반인보다는 심한편입니다. 

또한 공황장애라던지 일반인과 마주치지 않은 이유도 불안증과 수면에 지장이 있어 불면증도 쉽게 걸리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프로포폴의 특효 기능을 이용하여 숙효성 정맥 마취제로 낮이나 새벽에 관계없이 빨리 잠들 수 있기 때문에 스케쥴이 일정하지 않는 생활에 쉽게 남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폴은 체내의 도파민 농도를 증가시켜 통증과 불안을 줄여주고 기분을 좋게 만드는 효과가 있으므로 일부연구에는 살이 빠지는 효과도 같이 볼 수 있어서 연예인들이 자주 찾기도 합니다.

프로포폴 중독 현상

프로포폴은 마취유도와 유지에 사용되는 단기 작용하여 NA+ 수용제의 차단으로 뇌가 자극이나 흥분으로 인하여 느리면서 감각이 무뎌지게 됩니다. 

금단 현상으로는 일반 마약과 같은 것으로 초조함과 불안증세 또는 일시적인 기억상실까지 찾아와 상태가 만성화 되면서 전두엽 대뇌피질의 크기가 쪼그라들어 마약중독, 도박중독과 같이 판단능력과 인지능력이 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생활이 불가능해지고 프로포폴 약에 집착하게 되어 계속 찾게 되는 증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또한 감정기복, 무기력감, 허무함으로 인하여 쉽게 우울증에 빠질 수 있으며 중독이 계속 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걷는 것과 운동능력이 상실하여 사람으로써 생활이 불가됩니다.

3. 프로포폴 상습 투여한 연예인들

에이미

  • 프로포폴로 집행유예를 받았으나 마약류를 투약하여 강제로 추방되었고 입국후 또다시 마약류를 투여 및 거래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저 징역 3년을 실형받았습니다.
  • 프로포폴로 중독되고 5차례에 걸쳐 필로폰, 엑스터시, 케타민을 구입하여 총 6차례 필로폰을 투약한 혐의

휘성

  • 프로포폴을 투약한 혐의로 1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항소심에도 징역형이 구형되었습니다. 이로인해 사회봉사 40시간 및 약물치료강의 40시간을 선고받았습니다.

하정우

  • 수면마취가 필요하지 않은 피부미용을 시술하면서 프로포폴을 19회 투약하였고 인적사항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의사와 공모하여 진료기록부를 위조하여 작성하였고 벌금 3천만원을 선고 및 추징금 8만 8749원을 명령하였습니다.

반응형